상태관리 2

1. useQuery

React Query의 공식문서 및 리액트 네이티브를 다루는 기술의 주요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목차 useQuery란 쿼리는 비동기 요청 데이터에 대한 고유 키(Unique key)입니다. 보통 GET 요청에 사용되고, POST와 같이 서버의 데이터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엔 Mutation을 사용합니다. useQuery 기본 구조 캐시 키를 사용해 데이터를 캐시합니다. 한번 데이터를 받아온 뒤, 나중에 동일 요청시 데이터가 이미 존재시 기존에 있던 데이터를 바로 보여줍니다. 이때, 캐시 설정에 따라 데이터를 새로 불러오기도 합니다. // useQuery 구조 useQuery(캐시 키, 프라미스 반환 함수, 캐싱option?) useQuery Hook 반환 값 - status : API 요청 상태를 문자..

개발/React-Query 2022.02.17

0. React Query 시작하기

React Query의 공식문서의 주요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React Query란 리액트 쿼리는 리액트 웹앱에서 서버의 상태(state)를 가져오기(fetching), 캐싱(caching), 동기화(synchronizing), 업데이트(updating)를 수행합니다. React Query 개발 동기 일반적으로 리액트 어플리케이션은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가져오기 혹은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개발자들은 제각각 데이터를 자기만의 방식으로 가져오고 업데이트 합니다. (Promise와 async&await로 처리하거나 전역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비동기 다루는 방식) 이때 아래와 같은다양한 이유로 어플리케이션과 서버간의 관계와 실시간 상태를 관리하는게 어렵습니다. 서버에서 데이..

개발/React-Query 2022.02.17